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

숨은 금융자산 조회방법 및 내용 정리(feat,보도자료)

by 공부하는 회사원 2023. 2. 1.
728x90
반응형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숨은 금융자산 관리현황을 분석하여 조속히 찾아갈 수 있도록 금융소비자에 대한 안내를 강화하고 담당조직도 운영하도록 제도를 개선한다고 밝혔다.
오늘은 이와 관련된 내용과 실제 조회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주요내용 및 추진배경

숨은 금융자산 현황<출처:금융위원회>
숨은 금융자산 현황<출처:금융위원회>

  • 15년 6월 이후 숨은 금융자산 약 5.2조원을 금융소비자가 찾아가도록 함
  •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을 주체로 숨은 금융자산 조회·환급 시스템을 운영함에도 불구하고 규모는 꾸준히 증가
  • 예·적금, 보험금 등은 만기 후 금리가 크게 하락하므로 재투자로 얻을 수 있는 수익이 상실되고 금융사고 발생 위험 
  • 19년말 12.3조원, 20년말 14.7조원, 21년말 15.9조원, 22년말 16.9조원 
  • 이에 따라 금융회사의 금융소비자에 대한 안내를 강화, 담당조직을 지정 및 운영 하도록 함
  • 각 금융권별 협회는 23년 3월까지 금융소비자기준을 개정하여 반영하고 상반기까지 관리기준 및 전산시스템 개발 완료 예정

개선 전

숨은 금융자산 관리현황 개선 전&lt;출처:금융위원회&gt;
숨은 금융자산 관리현황 개선 전<출처:금융위원회>

  • 금융회사의 미흡한 안내로 인하여 만기도래 사실이나 금융자산 존재 여부를 알기 어려웠음
  • 금융회사 내 여러 부서에서 관련 업무를 맡다 보니 책임이 모호한 상황 발생
  • 예금 또는 적금과 같은 상품들을 만기 후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금리가 낮아지다가 소멸시효가 되면 이자를 지급하지 않음
  • 만기도래 전: 은행과 보험사 모두 만기도래 사실을 안내하고 있었으나 만기 후 적용금리가 하락한다는 사실 및 자동입금계좌 설정에 대한 안내는 다소 미흡
  • 만기도래 후: 대부분의 금융회사가 만기 이후 3개월까지는 안내하고 있으나, 1년 경과 후부터는 절반 가까운 금융회사가 안내하지 않음
  • 담당조직:  총괄하는 부서 없이 여러 부서에 산재

개선 후

개선 후 주요 내용&lt;출처:금융위원회 보도자료&gt;
개선 후 주요 내용<출처:금융위원회 보도자료>

  • 만기도래전 또는 만기 시 자동처리방법 설정 및 만기 후 적용금리에 대한 안내 강화
  • 만기 후 적용금리 조회 및 환급방법에 대한 안내 강화
  • 총괄 담당조직 지정 및 운영

만기도래  전, 만기 시 자동처리방법 설정 등 안내 강화

  • 만기 시 지정계좌 자동입금 또는 자동 재예치
  • 계약 시, 계약기간 중 연 1회(계약기간 1년 초과에 한함) 및 만기 직전에 안내하고, 계약기간 중 언제나 고객이 자동처리방법을 설정· 변경할 수 있도록 함

만기도래 후, 조회·환급방법 등 안내 강화

  • 만기 후 시간경과에 따른 불이익과 조회·환급방법에 대해 안내
  • 만기 시, 만기 후 최초금리 인하 전, 만기 1년 경과 후부터는 연 1회 이상 안내토록 하며,
  • 금감원 금융소비자 정보포털 파인(fine.fss.or.kr)을 통해 조회하여 환급가능하도록 함
  • 내계좌한눈에: 예·적금, 카드포인트 등 일괄 조회 및 환급
  • 내보험찾아줌: 숨은 보험금 조회 및 환급
  • 금감원 금융소비자 정보포털 파인 링크: https://fine.fss.or.kr/main/index.jsp
 

금융소비자정보포털 파인

금융소비자가 금융거래과정에서 필요하거나 알아두면 유익한 금융정보를 망라하여 제공, 금융감독원 파인, 금감원 파인, 휴면계좌 통합조회, 금융상품 한눈에, 연금저축 통합공시, 보험다모아,

fine.fss.or.kr

 

금감원 금융소비자 정보포털 파인
금감원 금융소비자 정보포털 파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