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방법원은 국내 4대 거래소에서 상장폐지 효력을 정지해 달라는 위메이드의 가처분 신청을 기각하면서 지난 8일 오후 3시를 기점으로 위 믹스의 국내 거래는 정지되었다. 오늘은 이 위믹스의 등장 배경과 상장 폐지 내용에 대해 알아보자.
위믹스 등장 배경과 정의?
위믹스란 게임회사인 위메이드의 자회사 위메이드 트리에 의해 개발된 블록체인 기반 게임 생태계 플랫폼이자 NFT 마켓 플레이스이다.
탈중앙화 된 블록체인 기술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암호화폐를 활용한 P2E* 게임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등장하였고 게임과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한 형태의 P&E 게임인 미르 4(게임을 이용하여 재화를 획득)를 2020년 11월 25일 출시하였다.
*P2E: Play to earn 이라는 뜻으로 게임을 하면서 돈을 번다는 개념이다. 사용자가 게임을 하면서 획득한 재화나 아이템을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자산으로 활용되는 모델을 말한다.
P&E 게임의 블록체인 이코노미는 총 3가지로 구성된다.
- 코인 : 게임경제의 통화
- NFT : 게임경제의 자산
- DEFI : 코인과 NFT를 활용한 금융 프로그램
미르 4의 흑철을 재료로 미르 4 전용화폐인 드레이코를 재련할 수 있고 드레이코는 위믹스 거래소에서 위 믹스로 환전하고 위믹스는 외부 코인 거래소를 통하여 현금화할 수 있다. 반대로 현금으로 위믹스를 사고 드레이코를 구입하여 흑철로 만들 수 있고 게임 캐릭터를 NFT화 해서 거래할 수 있다.
또한 드레이코를 이용하여 복권과 유사한 DSP, 합성코인인 HYDRA , 연금 시스템인 MIRAGE 등 탈 중앙화 된 DEFI 서비스를 제공한다.
위메이드는 위믹스를 기축 코인으로 하여 오픈 플랫폼을 제공하였다. 이 오픈 플랫폼을 통하여 게임회사와 개발자에게 게임 토큰과 NFT를 게임에 적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유저에게는 수많은 게임의 코인과 NFT를 거래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였다.
이렇듯 위메이드는 게임으로 얻어진 코인등을 다른 게임에도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전 세계 게임의 기축통화가 되길 바랬지만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상장폐지 이유?
위믹스의 상장폐지 이유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 위믹스의 유통량 허위 공시
가장 크게 지적되는 이유이다. 위믹스의 발행사 위메이드는 지난 1월 업비트에 유통량 계획서를 제출하고 지난해 12월 31일부터 올해 10월 31일까지 예상 유통량을 2억 4597만위믹스라고 공시하였다. 하지만 10월 25일 실제 유통량은 3억 1842만 개로 밝혀졌고 이 과정에서 코코아 파이낸스에 대출 담보물로 3700만개의 위믹스를 추가 유통했다.
이 추가 유통량에 관해 위메이드와 거래소 간 이견이 있었짐나 재판부는 '가상 자산은 상당한 양을 발행해 놓고 지갑에 보관하다가 계획한 양만큼 잠금을 해제하는 방식으로 유통되는 만큼 잠겨있는 물량을 제외하고는 유통량이라고 정의하는 것이 타당하다' 고 밝혔다.
이에따라 디지털 자산 거래소 협의체(DAXA)* 위믹스를 10월 27일 유의 종목으로 지정했고 11월 24일 거래지원을 종료하기로 했다. 위메이드는 불공정하다며 가처분 신청을 하였으나 기각되었다.
*DAXA: Digital Assete Xchange Alliance 의 약자로 국내 5대 가산 자산 거래소에서 만든 협의체이다.
- 투자자들에게 잘못된 정보 제공
위에서 언급한 내용과 같이 계획한 유통량과 실제 유통량이 차이가 나면서 투자자들의 혼란을 야기하였다.
위메이드는 약 2억4천만개의 코인 외에는 재단 지갑에 보유하고 있겠다고 하였지만 실제로는 위믹스를 담보로 대출을 받은 형태가 돼버린 것이다.
- 소명 기간 중 제출한 자료의 오류
업비트는 10월 21일 위메이드를 상대로 소명자료를 요청하였다.위메이드는 약 1천만 개를 초과 유통하였다고 인정하였으나 10월 25일에는 7천200만 개로 숫자를 번복하였다.
이로써 한때 3조 5천억원에 달하던 위믹스의 시가총액은 상장 폐지되면서 급락하였고 8일 오후 3시 430억 원으로 99% 가까이 추락하였다. 위메이드 주가 역시 5만 원대를 유지하다 3만 원대로 하락했다. 최고가였던 24만 5700원에 비하면 87% 가까운 추락이다. 위메이드의 시가총액도 8조 3천억 원대에서 1조대로 급락하였으며 이로 인해 가상자산 시장에 엄청난 파장을 일으킬 것이라고 판단된다.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납품단가연동제' 국회 본회의 통과, 관련 내용 총 정리 (0) | 2022.12.15 |
---|---|
최대 5억원까지 대출 가능한 특례보금자리론 총 정리 (0) | 2022.12.14 |
애플페이 국내 도입 시기 및 사용법 총 정리 (0) | 2022.12.12 |
3세대 실손 보험료 인상, 실손보험의 보상 항목과 인상 내용 총 정리 (0) | 2022.12.02 |
공공주택 50만호 공급, 청약제도 개편 내용 총 정리 (0) | 2022.12.01 |
댓글